BOJ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44
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ho0956/Algorithm/blob/master/1744/1744/%EC%86%8C%EC%8A%A4.cpp

 

수 묶기 문제는 일정 수열이 주어졌을 때 이 수열의 합을 최대한으로 만드는 문제입니다. 

여기서는 임의의 숫자를 다른 숫자와 묶는게 가능한데 이 묶기가 * 곱하기입니다.

 

예를 들어 0 1 2 4 3 5 라는 수가 있고 이를 모두 더하면 15가 됩니다.

하지만 (4,5) (2,3) 을 묶으면(곱하면) 0 1 (2*3) (4*5) 가 되고 이를 합하면 27이 됩니다.

 

저는 이런식으로 문제를 접근했습니다.

정수가 나올 수 있는 범위는 -10000~10000 이므로 일단 음수가 나올 수 있음에 주의해야합니다.

마찬가지로 0도 나올 수 있다는거죠!

 

그럼 양수는 최대한 높은 것끼리 곱해주는게 총 합에 이득일 것이고,

음수는 최대한 작은 것 끼리 곱해주는게 총 합에 이득일 것입니다.

 

여기서 또 뭘 생각해보았냐면

 

0과 1에 주의하는 것입니다.

1보다 큰 양수는 0과 곱해지면 무조건 손해를 보고 1과 곱해져도 무조건 손해입니다.

1 2 가 있다면 1*2 를 하는 것은 손해니까요

그리고, 음수는 분명 짝을 지어서 서로 곱하는게 무조건 이득입니다.

근데, 짝을 못찾는 음수가 남을 수 있으니, 이는 0과 곱해서 그냥 0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입니다.

이 경우는 단 1가지밖에 존재할 수 없습니다. 음수는 남거나 안남거나 둘 중 하나니까요

 

이 정도만 고려하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.

 

더보기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algorithm>
#include <vector>
using namespace std;
 
vector<pair<int,int> > v;
 
int main() {
    ios::sync_with_stdio(0), cin.tie(0);
 
    int N, num;
    int zero = 0;
 
    cin >> N;
 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N; i++) {
        cin >> num;
        v.push_back({ num, 1 });
    }
 
    sort(v.begin(), v.end());
 
    int fin_idx = 0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v.size(); i++) {
        if (v[i].first >= 0) {
            fin_idx = i;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if (i + 1 <= v.size() - 1 && v[i+1].first <= 0) {
            v[i].first *= v[i + 1].first;
            v[i + 1].second = -1;
            i++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
    for (int i = v.size() - 1; i >= fin_idx; i--) {
        if (v[i].first <= 1break;
        if (i - 1 >= fin_idx && v[i - 1].first > 1) {
            v[i].first *= v[i - 1].first;
            v[i - 1].second = -1;
            i--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
    int total = 0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v.size(); i++) {
        if (v[i].second != -1) total += v[i].first;
    }
 
    cout << total;
    return 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OJ 1107번 리모컨  (0) 2020.01.21
BOJ 1476번 날짜 계산  (0) 2020.01.17
BOJ 11399번 ATM  (0) 2020.01.17
BOJ 1931번 회의실 배정  (0) 2020.01.17
BOJ 1783번 병든 나이트  (0) 2020.01.17

BOJ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399
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ho0956/Algorithm/blob/master/11399/11399/%EC%86%8C%EC%8A%A4.cpp

 

현재 사람이 앞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앞사람이 인출하는 시간을 줄이면 된다.

==> ATM 인출 시간을 가장 작게 줄이는 방법은 정렬을 해주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.

 

더보기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#include <algorithm>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vector>
using namespace std;
 
int N, a;
vector<int> v;
 
int main() {
    ios::sync_with_stdio(0), cin.tie(0);
    cin >> N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N; i++) {
        cin >> a;
        v.push_back(a);
    }
    sort(v.begin(), v.end());
    int total = 0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v.size(); i++) {
        for (int k = 0; k <= i; k++) {
            total += v[k]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
    cout << total;
    return 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OJ 1476번 날짜 계산  (0) 2020.01.17
BOJ 1744번 수 묶기  (0) 2020.01.17
BOJ 1931번 회의실 배정  (0) 2020.01.17
BOJ 1783번 병든 나이트  (0) 2020.01.17
BOJ 10610번 30  (0) 2020.01.17

BOJ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31
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ho0956/Algorithm/blob/master/1931/1931/%EC%86%8C%EC%8A%A4.cpp

 

회의실을 최대한 많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의의 시작시간이나 회의시간 이 중요한게 아니고

회의가 언제 끝냐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.

회의가 빨리 끝나는 순으로 정렬하여서 가능한 모든 회의를 진행하면 이게 최대의 횟수가 됩니다.

 

 

더보기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algorithm>
#include <vector>
using namespace std;
 
vector<pair<intint> > v;
int N, f, s;
 
bool cmp(pair<intint>& a, pair<intint>& b) {
    if (a.second != b.second) return a.second < b.second;
    else return a.first < b.first;
}
 
int main() {
    ios::sync_with_stdio(0), cin.tie(0);
    cin >> N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N; i++) {
        cin >> f >> s;
        v.push_back({ f,s });
    }
    
    sort(v.begin(), v.end(), cmp);
 
    int cnt = 1, fin = v[0].second;
    for (int i = 1; i < v.size(); i++) {
        if (v[i].first >= fin) {
            cnt++;
            fin = v[i].second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
    cout << cnt;
    return 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OJ 1744번 수 묶기  (0) 2020.01.17
BOJ 11399번 ATM  (0) 2020.01.17
BOJ 1783번 병든 나이트  (0) 2020.01.17
BOJ 10610번 30  (0) 2020.01.17
BOJ 2875번 대회or인턴  (0) 2020.01.17

BOJ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83
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ho0956/Algorithm/blob/master/1783/1783/%EC%86%8C%EC%8A%A4.cpp

 

처음에는 진짜 이걸 어떻게 푸나 싶었다.

범위도 크고 진짜 탐색할수도 없고

그래서 1~4번 규칙을 이용해서 몆가지 예시를 만들어가보니 규칙이 보였다.

 

만약 N 이 1이면 1 2 3 4 조건을 사용할수가 없다. => 1개

만약 N 이 2이면 1 4 조건은 사용못하지만 2 3 은 사용할수있다.  

중요한 것은 만약, 이동 횟수가 4번 이상인 경우에는 위의 이동 방법을 각각 한 번 이상 이용해야 한다. 는 제약이다.

그래서 M 의 길이에 따라 최대 4개가 될 수 있다.

만약 N 이 3이상이라면 1 2 3 4 조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
이때는 최대한 많은 방문을 해야한다고 했으니, 규칙상 가로를 2칸이동하는 것 보다는 세로를 2칸씩 이동하는 것이

더 많은 방문을 할 수 있다.

그러므로 2 3 조건을 1번씩만 사용한다면 1 4 조건으로만 계속 1줄씩 채워나갈수 있다

M 의 길이에 주의해서 2 3 조건을 1번씩만 사용하니 방문못하는 경우는 단 2줄밖에 없게 된다.

 

더보기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algorithm>
using namespace std;
 
int main() {
    int N, M;
    cin >> N >> M;
    if (N == 1cout << "1";
    else if (N == 2cout << min(4, (M - 1/ 2 + 1);
    else {
        if (M <= 6) {
            if (M <= 3cout << M;
            else cout << "4"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cout << M - 2;
    }
 
    return 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OJ 11399번 ATM  (0) 2020.01.17
BOJ 1931번 회의실 배정  (0) 2020.01.17
BOJ 10610번 30  (0) 2020.01.17
BOJ 2875번 대회or인턴  (0) 2020.01.17
BOJ 11047번 동전 0  (0) 2020.01.17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