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OJ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20
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ho0956/Algorithm/blob/master/1720/1720/%EC%86%8C%EC%8A%A4.cpp

 

타일맞추는거 정말어렵습니다. 진짜 너무 어렵네요

 

타일을 맞출 수 있는 모든 가지의 수는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.

문제의 조건은 중복되는 수는 2가 아닌 1로 즉, 중복되는 수를 감소시켜야 되는 문제입니다.

 

대체 어떻게 중복되는 수를 찾아야되는지 고민했습니다.

 

식을 이렇게 세워봤습니다.

중복되는 수를 A, 중복되지 않는 수를 B라고 했을 때

원하는 답 : 2A + B - A = A+B

즉 2A+B 에서 A+B 를 만들어야하는 문제였습니다. -A 를 어떻게 찾아야되는지 계속 고민했습니다.

결국 실패했고,, 다른 방법을 찾은게 B 즉, 중복되지 않는 수를 찾아보는 것이였습니다.

2A+B+B / 2 = A+B 이니 원하는 답은 같으니까요

 

중복되지 않는 수는 의외로 쉽게 구할 수 있었습니다.

중복되지 않는 수는 즉 순대칭? 같은 배열을 뜻합니다. 그렸을 때 딱 1번만 보여지는 배열 즉, 

예를 들면 가로*세로 기준 2*1 로만 쭉 채운 모양을 말합니다.

이때 중복되지 않는 수는 N이 짝수일때와 홀수일때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 

가장 먼저 제 코드에서 아셔야 하는 것은 dp의 값 상태입니다.

저는 재귀로 dp를 해결하는 것을 좋아해서 다른분들과는 반대로 dp[0]이 최종값을 의미하게 됩니다.

dp[0] = 재귀... = 재귀... 이런 형태를 띄게되니까요

 

N이 홀수일 경우를 먼저 고려해보면, 

만약 N이 5이면 순대칭? 을 만들기 위해서는 2부분에 2*1 타일을 넣고 나머지 0~1 부분에 아무거나 넣는것입니다.

즉 N이 홀수일 경우 순대칭배열은 dp[N/2-1] 경우의수입니다.

즉 제 코드 기준으로는 dp[0]이 dp[N]이 되니 순서가 바뀐다는 것을 생각해서

(dp[0]+dp[N/2+1]) / 2 가 N이 홀수일 경우 (2A+B+B)/2 = answer를 만드는 공식이 됩니다.

 

N이 짝수일 경우를 고려해보면,

만약 N이 6이면 순대칭? 을 만들기 위해서는 2가지 경우가 존재하게 됩니다.

1) N/2를 정확히 나눠서 N/2-1, N/2+1에는 2*1 타일을 넣는 경우

2) (N/2-1)~(N/2+1) 에 1*2 | 2*2 타일을 넣는 경우가 됩니다.

 

dp[n] 을 길이 n까지 타일을 넣을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라고 가정하면,

dp[n] = dp[n-1]+dp[n-2] (즉, 길이가 1 적을때와 2 적을때의 모든 경우) 가 된다는 것을 안다면

 

N이 짝수일 경우 순대칭배열은 dp[N/2]+dp[N/2-1] = dp[N/2+1] 이 되게 되고

제 코드 기준상 반대로 뒤집으면 dp[N/2-1] 이 되게 됩니다.

(dp[0]+dp[N/2-1]) / 2 가 N이 짝수일 경우 (2A+B+B)/2 = answer를 만드는 공식이 됩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cstring>
using namespace std;
typedef long long ll;
 
ll dp[31];
int N;
 
ll solve(int x) {
    if (x > N) return 0;
    if (x == N) return 1;
 
    ll& res = dp[x];
    if (res) return res;
 
    res = solve(x + 1+ solve(x + 2)*2;
    return res;
}
 
int main() {
    ios::sync_with_stdio(0), cin.tie(0);
    cin >> N;
 
    ll ans = solve(0);
    if (N % 2) {
        ans = (dp[0+ dp[N / 2 + 1]) / 2;
        if (N == 1) ans = 1;
    }
    else {
        ans = (dp[0+ dp[N / 2 - 1]) / 2;
    }
 
    cout << ans;
    return 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OJ 1213번 팰린드롬 만들기  (0) 2020.02.16
1254번 팰린드롬 만들기  (0) 2020.02.16
BOJ 11060번 점프 점프  (0) 2020.02.13
BOJ 1890번 점프  (0) 2020.02.13
BOJ 9184번 신나는 함수 실행  (0) 2020.02.13

BOJ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060
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ho0956/Algorithm/blob/master/11060/11060/%EC%86%8C%EC%8A%A4.cpp

 

맨 앞부분이 0일 경우 이동할수있는 경우의 수가 없으니 무조건 -1을 출력하도록 했는데,

만약 길이가 1이고 값이 0이면 이동하지 않아도 되니 0을 출력해도 되는 함정이 숨어있었습니다,,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algorithm>
#include <cstring>
using namespace std;
#define val 987654321
 
int dp[1001];
int arr[1001];
int N;
int answer;
bool check = false;
 
int solve(int x) {
    
    if (x == N - 1) {
        check = true;
        return 0;
    }
    
    int& res = dp[x];
    if (res) return res;
 
    int ans = val;
    for (int i = arr[x]; i >= 1; i--) {
        if (x + i < N && arr[x + i] != 0) ans = min(ans, solve(x + i)+1);
    }
    return res = ans;
}
 
int main() {
    ios::sync_with_stdio(0), cin.tie(0);
    cin >> N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N; i++cin >> arr[i];
 
    if (arr[0== 0) {
        if (N == 1cout << "0";
        else cout << "-1";
    }
    else {
        answer = solve(0);
        if (check) cout << answer;
        else cout << "-1";
    }
 
    return 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254번 팰린드롬 만들기  (0) 2020.02.16
BOJ 1720번 타일 코드  (0) 2020.02.13
BOJ 1890번 점프  (0) 2020.02.13
BOJ 9184번 신나는 함수 실행  (0) 2020.02.13
BOJ 2011번 암호코드  (0) 2020.02.13

BOJ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890
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ho0956/Algorithm/blob/master/1890/1890/%EC%86%8C%EC%8A%A4.cpp

 

종착점인 arr[N-1][N-1] 부분만 0이 나오는줄 알았는데

다른 부분에서도 0이 나올수있는지 메모리초과 덕분에 알았습니다.

문제를 좀더 꼼꼼하게 읽는 습관을 들여야겠습니다.

 

문제가 요구하는 그대로 재귀식 dp를 활용하여 해결하였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#include <iostream>
using namespace std;
 
typedef long long ll;
 
ll dp[101][101];
int arr[101][101];
int N;
 
ll solve(int y, int x) {
    if (y == N - 1 && x == N - 1return 1;
    if (y >= N || x >= N) return 0;
    if (arr[y][x] == 0return 0;
 
    ll& res = dp[y][x];
    if (res) return res;
 
    return res = solve(y + arr[y][x], x) + solve(y, x + arr[y][x]);
}
 
int main() {
    ios::sync_with_stdio(0), cin.tie(0);
    cin >> N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N; i++)
        for (int j = 0; j < N; j++)
            cin >> arr[i][j];
 
    cout << solve(00);
    return 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OJ 1720번 타일 코드  (0) 2020.02.13
BOJ 11060번 점프 점프  (0) 2020.02.13
BOJ 9184번 신나는 함수 실행  (0) 2020.02.13
BOJ 2011번 암호코드  (0) 2020.02.13
BOJ 2638번 치즈  (0) 2020.02.13

BOJ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184
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ho0956/Algorithm/blob/master/9184/9184/%EC%86%8C%EC%8A%A4.cpp

 

dp문제라기 보다는 꼼꼼함을 따지는? 문제였습니다

 

dp의 크기를 잡는 힌트는 문제에 주어져있고

처음에 그 범위는 읽었지만, 바로 수정한 다음에 함수호출을 하여서 w(a,b,c) 를 할때 틀렸네요,,

이것만 주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cstring>
using namespace std;
typedef long long ll;
ll dp[22][22][22];
 
ll solve(int a, int b, int c) {
    if (a <= 0 || b <= 0 || c <= 0return 1;
 
    ll& res = dp[a][b][c];
    if (res) return res;
 
    if (a > 20 || b > 20 || c > 20return res = solve(202020);
    if (a < b && b < c) return res = solve(a, b, c - 1+ solve(a, b - 1, c - 1- solve(a, b - 1, c);
    else return res = solve(a - 1, b, c) + solve(a - 1, b - 1, c) + solve(a - 1, b, c - 1- solve(a - 1, b - 1, c - 1);
}
 
int main() {
    ios::sync_with_stdio(0), cin.tie(0);
 
    int a, b, c;
    while (1) {
        cin >> a >> b >> c;
        if (a == -1 && b == -1 && c == -1break;
        cout << "w(" << a << ", " << b << ", " << c << ") = ";
        if (a > 20) a = 21;
        if (b > 20) b = 21;
        if (c > 20) c = 21;
        cout << solve(a, b, c) << "\n";
        memset(dp, 0sizeof(dp));
    }
 
    return 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 target="_blank" 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 by Color Scripter
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OJ 11060번 점프 점프  (0) 2020.02.13
BOJ 1890번 점프  (0) 2020.02.13
BOJ 2011번 암호코드  (0) 2020.02.13
BOJ 2638번 치즈  (0) 2020.02.13
BOJ 2636번 치즈  (0) 2020.02.13

+ Recent posts